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발표 천안 광명 태백 경산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지자체와 민간기업이 협력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올해 공모는 5월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공모에서는 거점형과 강소형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접수되었습니다. 그 결과, 거점형에는 충남 천안시가, 강소형에는 경기 광명시, 강원 태백시, 경북 경산시가 선정되었습니다.

 

지자체 사업계획 발표자료 확인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발표

 

< 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선정 결과 >

사업유형 지자체 사업부제
거점형 충남 천안 포용적이고 역동적인 미래도시 PRISM City 천안
강소형 경기 광명 사람과 도시의 연결,누구나 쉽게! MILE EASY 광명
강원 태백 신기술과 열정시민으로 다시뛰는 Smart M+City 태백시
경북 경산 청년에 의한, 청년을 위한 혁신성장 플랫폼도시 경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에는 총 4개 지자체가 신청하여 4:1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선정된 천안시에는 3년간 국비 160억원(지방비 1:1 매칭)이 지원됩니다. 천안시는 충청권 메가시티를 견인할 스마트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역세권 혁신지구,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캠퍼스 혁신파크를 중심으로 다양한 스마트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주요 서비스는 AI 기반 자원순환 모델, 음성기반 노면분석, 탄소중립 자율주행 셔틀 등이 포함되며,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증공간(버추얼 스테이션)을 구축하여 어반테크 기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smart city - 1smart city - 2smart city - 3

 

< 포용적이고 역동적인 미래도시 PRISM City 천안>

ㅇ(사업위치) 천안시 와촌동 백석동, 안서동 일원

ㅇ(주요내용) AI 자원순환 모델, 탄소중립 자율주행, 헬스케어 데이터 실증 및 수집, 디지털트윈 기반의 가상실증플랫폼(버추얼 스테이션) 등

ㅇ(참여기관) SK플래닛, CJ올리브네트웍스, NHN클라우드, JB, 코나아이, 우아한형제들, 다쏘시스템, 아인스에스엔씨, 아마존웹서비스, 단국대학교, 천안과학산업진흥원,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스마트 도시 천안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기후위기 대응형과 지역소멸 대응형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총 17곳이 신청해 5.7: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광명시, 태백시, 경산시가 선정되었습니다. 각 지자체에는 3년간 국비 80억원(지방비 1:1 매칭)이 지원됩니다.

스마트 시티 - 1스마트 시티 - 2스마트 시티 - 3

 

광명시 (기후위기 대응형)

 

광명시는 광명역세권지구에 교통, 에너지, 재해ㆍ안전 스마트서비스를 데이터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전기이륜차 배달문화 밸류체인, 기업대상 업무용 전기차 공유, AI분석 재해 예측, 탄소관리 플랫폼, 신재생에너지 가상 거래 서비스 등을 도입합니다.

<기후위기 대응형>

ㅇ(사업위치) 광명역세권지구 일원

ㅇ(주요내용) 친환경 배달문화 밸류체인 서비스, IoT 그린배리어 서비스, 신재생에너지 자원발전소, AIoT 기반 침수‧홍수 통합관제시스템 등

ㅇ(참여기관) 경기교통공사, 한양대학교 ERICA, SK플래닛, 현대자동차, 기아, 우아한형제들, 후시파트너스, 그리너리
스마트 도시 광명

 

태백시 (지역소멸 대응형)

 

태백시는 급격한 인구감소와 고령화 문제를 스마트마이닝 혁신기술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장성광업소(제2갱도)를 스마트마이닝 실증공간으로 활용하고, 무인트럭 운영, 블록체인 기반 자원이력시스템, 디지털 창작소 등을 통해 기업 유치와 인구 유입을 유도할 계획입니다.

<지역소멸 대응형>

ㅇ(사업위치) 태백시 일원

ㅇ(주요내용) 스마트 마이닝 서비스(실증단지), 디지털 포용형 교육 서비스 등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 조성

ㅇ(참여기관)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문엔지니어링(주), ㈜한화, ㈜한국엘이디, ㈜GH EnA, (주)엔클라우드
스마트도시 태백

스마트 도시 - 1스마트 도시 - 2스마트 도시 - 3

 

 

경산시 (지역소멸 대응형)

 

경산시는 청년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첨단산업 활성화 도시에 집중합니다. 주요 서비스로는 AI 모빌리티(Bike), 스마트미디어시티 아트 솔루션, 청년창업 스마트 플랫폼, 데이터 에코체인 플랫폼 등이 포함됩니다.

<지역소멸 대응형>

ㅇ(사업위치) 임당역, 하양읍, 진량읍 일원

ㅇ(주요내용) 데이터 캡처링 모빌리티(PM), 청년창업 플랫폼(GPU 기반 AI분석 인프라 제공), 스마트도시 미래인재 양성(AI일자리 육성교육) 등

ㅇ(참여기관) ㈜센코,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포지텍, ㈜지바이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영국씨앤피, 대지정공(주)
스마트 도시 경산

 

스마트도시의 미래

국토교통부는 지자체로 하여금 개발되는 솔루션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광역지자체에 구축 중인 데이터허브와 연계하도록 하여 스마트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플랫폼 도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에 많은 지자체와 기업이 참여하여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가 구축되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되어 지속 가능한 도시로 성장해 나가길 기대합니다.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의 사업계획 발표자료는 스마트시티 종합포털(www.smartcity.go.kr)에서 6월 25일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자체 사업계획 발표자료 확인


 

 

728x90